IT/코딩테스트
[IT/코딩테스트] KB ITYL 기말평가 대비 : 타겟 넘버 (programmers)
토끼개발자 조르디
2025. 7. 1. 17:41
▶ 문제 설명
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1, 1, 1, 1]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 제한 사항
-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입니다.
- 각 숫자는 1 이상 5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타겟 넘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입출력 예시
numbers | target | return |
[1, 1, 1, 1, 1] | 3 | 5 |
[4, 1, 2, 1] | 4 | 2 |
[예시1]
문제 예시와 같다.
[예시2]
+4+1-2+1 = 4
+4-1+2-1 = 4
총 2가지 방법이 있으므로, 2를 return 합니다.
▶ 문제 정리
⚈ 문제 유형: DFS / 백트래킹
⚈ 문제 파악 + 접근 방법:
숫자 배열에서 각각의 숫자에 + 또는 -를 붙여 타겟 숫자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문제.
숫자 순서를 바꾸지 않으며,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야 한다.
⚈ 풀이 로직 요약:
1) dfs(index, sum) 형식으로 재귀 호출
2) 각 단계마다 + 또는 - 두 가지 분기로 진행
3) 마지막 index까지 왔을 때, 합이 target과 같으면 count 증가
4) 모든 경우 합산
솔루션 코드
def solution(numbers, target):
def dfs(i, total):
if i == len(numbers):
return total == target
return dfs(i+1, total+numbers[i]) + dfs(i+1, total-numbers[i])
return dfs(0, 0)
⚈ 깨달은 점 / 핵심:
- 이진 트리처럼 생각하면 쉬움 (+, - 양갈래)
- 완전탐색 DFS는 항상 종료 조건 + 진행 조건을 명확히
- 반환값을 누적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면 깔끔함
▶ 링크
https://campus.programmers.co.kr/tryouts/183409/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