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공부와 자격증 등/SQLD 4

[자격증/SQLD] 드디어 SQLD 와의 악연을 끊다...삼수생 어떤데😹

SQLD 를 또 신청하다제목에서 느껴지는바와 같이,,, 나는 SQLD 를 여러번 봤다 ㅎㅎ 인터넷에 "SQLD 시험 꿀팁" 이라고 검색하면 "비전공자 일주일 합격 후기", "전공자 3일의 기적" 등 정말 다양한 벼락치기 고수들의 글들을 볼 수가 있는데 나는 그분들과 같은 길을 걷다가 나가떨어진 케이스이다. 역시 나는 뱌락치기 와는 거리가 매우 멀다 부끄럽지만, 나처럼 공부하지 말라는 의미로 아래에 그동안의 시험 응시 과정을 다 적어보도록 하겠다. SQLD 시험 연대기 🦁불합격 편첫 번째 이야기첫 번째 시험 당시, 대학교 동기들과 신청을 했는데 그때 뭐랑 겹쳐서 4일(? 정도 공부를 했었던 것 같다. 그당시에는 6점차이로 불합격의 쓴맛을 보았다... 심지어 같이 본 동기들은 다 붙어서 참 씁쓸했다 ㅠ..

[자격증/SQLD] 2과 1장 오답 풀이 + 개념 정리

과목 2 : SQL 기본 및 활용제 1장 : SQL 기본제 1절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제 2절 : SELECT 문제 3절 : 함수제 4절 : WHERE 절제 5절 : GROUP BY, HAVING 절제 6절 : ORDER BY 절제 7절 : 조인제 8절 : 표준 조인[문8] SQL 문을 실행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1) SELECT DEPTNO, ROUND(AVG(SAL),2)2) FROM EMP3) WHERE AVG(SAL) >= 18004) GROUP BY DEPTNO; 해설 > WHERE 절에는 집계 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 관련 개념 > WHERE 절▶ FROM 절 다음에 위치 ▶ 조건식 규칙 1. 칼럼(Column)명 : 보통 조건식의 좌측에 위치 2. 비교..

[자격증/SQLD] 1과 2장 오답 풀이 + 개념 정리

과목 1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제 2장 : 데이터 모델과 SQL제 1절 : 정규화제 2절 : 관계와 조인의 이해제 3절 :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제 4절 : Null 속성의 이해제 5절 :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문38] 아래와 같이 전제조건이 있을 때 테이블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전제조건 : 유형기능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속성들은 분포도가 양호하며, SQL Where절에서 각각의 값이 상수 값으로 조건 입력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1) 조회 조건이 유형기능분류코드에 따라 반복되는 그룹이 칼럼단위로 되어 있으므로 제1정규형이라고 할 수 있다.2) 유형기능분류코드에 대해 where절에 조건으로 들어오는 값이 있으므로 PK와 이에 대한 인덱스만 있으면 SQL 문장은 빠..

[자격증/SQLD] 1과 1장 오답 풀이 + 개념 정리

과목 1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제 1장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제 1절 : 데이터 모델의 이해제 2절 : 엔터티제 3절 : 속성제 4절 : 관계제 5절 : 식별자[문1] 데이터 모델링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하는 추상화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2) 시스템 구현만을 위해 진행하는 사전 단계의 작업으로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전 작업의 의미가 있다.3) 복잡한 현실을 제한된 언어나 표기법으로 이해하기 쉽게 하는 단순화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4) 모호함을 배제하고 누구나 이해가 가능하도록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정확화의 의미를 가진다. 해설 > 모델링은 시스템 구현만을 위해 수행하는 태스크가 아니며, 시스템 구현을 포함한 업무 분석 및 업무 형..